새마을운동에 관심이 높은 국가의 이해관계자(중앙정부, 지방정부, 사업관련기관)와 네트워크를 구성하고, 관련 전문가들과 새마을세계화 협력모델을 구축하고 있습니다.
기업지원형 새마을사업은 개도국 농촌 중심의 새마을사업에서 도심 공장으로 사업 범위를 확대하고자 1970~80년대 공장새마을운동의 성공 경험을 개도국에 진출한 도내 기업과 공유하여 현지인 종업원의 의식개혁을 통한 기업의 경영혁신을 추구합니다.
01 사업계획수립 | 배정 예산 편성 연수생 및 추진 계획 수립 |
02 수요조사 | 국가별 교류협력 수요조사 |
03 사전 준비 | 사업 추진 준비 |
04 사업 진행 | 새마을 교육, 세미나 등 |
05 사후관리 | 사업 만족도 조사 및 결과보고서 작성 |
2017년 | IFAB 국제교류협력 신규사업 시행 |
2018년 | AfDB 국제교류협력 신규사업 시행 |
2022년 | 기업지원형 새마을사업 신규사업 시행, AfDB 사업 종료 |
2023년 | IFAB 사업 종료 |
2024년 | 환류네트워킹 신규사업 시행 |
연도 | 구분 | 사업내용 | 대상 | 후원 | |
2018 ~ 2022 | AfDB | 카라지역 농업가치사슬 구축 | OPA 농민조직 | 9,672명 | 14,037명 |
2019 ~ 2023 | IFAD | 코트디부아르 농업가치사슬 구축 | 코트디부아르 농민조직 | 4,365명 |
연도 | 국가 | 사업내용 | 대상 | 후원 | |
2022년 | 베트남 | 현지 진출 한국기업 임직원 대상 공장 새마을운동 교육 |
현지 진출 한국기업 임직원 | 200명 | 317명 |
인도네시아 | 117명 | ||||
2022년 | 베트남 | 공장새마을운동의 이해, 품질 및 생산성 향상 교육 |
현지 진출 한국기업 임직원 | 242명 | 475명 |
인도네시아 | 153명 | ||||
스리랑카 | 귀국근로자 대상 새마을 교육 | 귀국근로자 | 80명 |
2024년 신규사업